■ 김형준, 명지대 교수 / 이동우, YTN 보도국 선임기자<br /><br />[앵커]<br />김형준의 대선 빅데이터. 김형준 명지대 교수 그리고 이동우 YTN 보도국 선임기자 나와 있습니다. 안녕하십니까? 오늘 빅데이터는 어떤 주제를 준비하셨습니까?<br /><br />[인터뷰]<br />제목은 여심을 잡아라입니다. 지금 여성 유권자들에 대해서는 과거에 몇 가지 잘못된 생각을 갖고 있었어요. 왜냐하면 여성은 이념적으로, 상대적으로 보수적이다.<br /><br />그래서 안보 이슈가 나오면 여성들은 오히려 더 정부를 옹호하는 그런 경향을 갖고 있다라는 그런 관념이 있었고요. 두 번째는 여성은 남성보다 상대적으로 정치에 관심이 많지 않다라는 그런 착각, 오해가 있었던 것이고요.<br /><br />또 하나는 주부의 경우는, 여성의 경우는 자신이 투표하는 것보다 가족의 권위에 의해서 투표를 한다, 이런 게 지금까지의 통설이었습니다. 그런데 이런 통설이 다 깨져나가고 있습니다.<br /><br />특히 2010년도 지방선거 당시 천안함 사태가 나오지 않았었습니까? 조사를 해 보니까 오히려 30대 후반, 50대 초반의 주부 여성분들의 투표가 그 당시 선거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쳤어요.<br /><br />그러니까 평화냐 전쟁이냐를 가지고 충돌했는데 오히려 여성분들이 평화 쪽에 훨씬 더 많은 투표를 하면서 당시 야당이 승리했었을 때 결정적인 역할을 했고요.<br /><br />그 이후에 2012년 대통령선거도 선거 심층분석을 해 보니까 박근혜 후보 승리의 결정적 요인은 경제민주화, 맞춤형 복지가 아니라 바로 40대 여성이었다는 것이 증명이 됐고요. 그 부분은 나중에 자세히 설명을 드리도록 하겠습니다.<br /><br />[앵커]<br />그러면 역대 대선으로. 몇 년도부터?<br /><br />[인터뷰]<br />97년부터 봤는데요. 일단은 왜 여성이 중요하는 하냐라는 문제를 다루기 위해서 여성과 남성의 과연 투표사에서의 변화가 있느냐라는 것이죠. 과거 97년도 그리고 2002년도 그리고 2007년까지는 남성의 투표율이 조금씩 높았습니다.<br /><br />파란 것이 남성의 투표율을 이야기하고 있는데요. 아주 차이가 크지 않지만 미묘하게 높았는데요. 2012년에 들어가면서 이 투표율이 역전이 됩니다. 여성의 투표율이 76.4, 그리고 남성이 74.8이고요.<br /><br />최근의 유권자 인구수를 조사를 해 보면 남성보다는 여성이 많아지는 것, 이런 것들이 아마 2017년도 대통령선거에서 여심이 굉장히 중요하게 영향을 미칠 거라고 보고요.<br /><br />지금 대선 후보들이 경쟁적으로 여성, 특히 육... (중략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://www.ytn.co.kr/_ln/0101_201703031500272982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8585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유튜브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Ytb5SZ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